채권은,

"일정 금액을 빌린 후 매년 이자를 주고 만기 시 돈을 갚을께" 라는 약속을 종이 적어둔 것임

 

 

누가 돈을 빌리나?

국가가 돈을 빌리면 국가채권 (국채, Gevernment Bond)

회사가 돈을 빌리면 회사채권 (회사채, Corporate Bond)

지방자치단체가 돈을 빌리면 지방채권 (지방채, Municipal Bond) 임.

 

 

왜 돈을 빌리나?

국가는 세금만으로 나라를 운영할 수 없고 기업은 수익만으로 사업 확장 등을 하기 어려울 수 있음

또한 지방자치단체도 지역 예산만으로 운영하기 어려울 수 있음

 

따라서

"내가 1,000원짜리 차용 증서를 발행할테니 사줄래? 5년 동안 매년 3% 이자를 주고 5년 뒤 원금도 갚을께" 라는

형태로 채권(차용증서)를 판매를 하고, 이 채권을 구매한 사람들에게 받은 돈으로 필요한 곳에 사용함

그리고 매년 이자를 주고 만기 시 원금을 갚는 구조임

 

 

돈을 빌리는 기간은,

만약 친구가 "10년 또는 20년만 돈 빌려주라" 라고 믿음이 잘 안갈거임.

※ 그 사이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몰라서 위험이 크다 → 이자 많이 받아야 함

 

대신 친구가 "나 이틀만 돈 빌려주라" 라고 한다면,

곧 바로 갚을 확률이 높아서 위험이 적다 → 이자 적게 받아도 됨

 

즉, 돈을 빌리는 기간에 따라서 채권은 3가지로 나뉘고

단기채(1년 이내), 중기채(1년 ~ 10년), 장기채 (10년 이상)

 

기간이 길수록 못받을 확률이 크므로 보통 기간이 길어질 수록 이자가 높은 것임

이자  : 단기채 < 중기채 < 장기채

 

 

돈은 어떻게 빌려주나?

국채는,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 증권사, 은행을 통해서 돈을 빌려줄 수 있고

미국은 TreasuryDirect(미 재무부 홈페이지), 증권사, 은행을 통해서 돈을 빌려줄 수 있음

 

회사채는,

증권사에서 공모 청약 형식으로 구매 가능함

 

지방채도,

국내 증권사나 은행에서 일부 판매함

 

개인도 증권사 계좌를 통해서 사거나 ETF나 채권형 펀드로 쉽게 구매 가능함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4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4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련 기업 #3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련 기업 #3[기술] 원자력 발전 - SMR (소형 모듈 원자로) #2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소형 모듈 원자로) #2

dwang.tistory.com

 

MMR은 SMR보다 더 시장 초기지만, 하나의 기업을 주목하고 있음

 

 

미국은,

Oklo Inc 라는 회사가 있고 컨테이너 크기의 Aurora라는 모델을 만들고 있음

TRISO 연료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는 스타트업임

북극, 군사기지, 우주 탐사 등에 활용할 목적이라고 함

원자력계의 테슬라라고 불림

 

 

투자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에 포함되어 있어서 개별 기업 주식은 사지 않았음

 

번호 종목명 수량 비중(%) 평가금액(원)
1 설정현금액 807,882,283 0.00% 807,882,283
2 원화현금 1,589,467 0.00% 1,589,467
3 GE Vernova LLC 157 16.44% 132,534,098
4 CONSTELLATION ENERGY 240 13.10% 105,590,114
5 ARISTA NETWORKS 508 11.58% 93,407,474
6 EATON CORP PLC 189 11.37% 91,645,519
7 Trane Technologies plc 135 9.97% 80,371,314
8 VISTRA ENERGY CORP 283 9.48% 76,448,800
9 Vertiv Holdings Co 353 7.80% 62,886,892
10 NuScale Power Corp 1,197 7.01% 56,546,391
11 Quanta Services Inc 104 6.79% 54,711,432
12 Oklo Inc 560 6.47% 52,150,782

※ 25. 8. 22일 기준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련 기업 #3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련 기업 #3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소형 모듈 원자로) #2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소형 모듈 원자로) #2[기술] 원자력 발전 - 장점과 단점 #1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장점과 단점 #1

dwang.tistory.com

 

 

지금까지 SMR에 대해서 얘기해봤음

다음은 MMR임

 

 

MMR (Micro Modular Reactor, 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말그대로 초소형 원자로도 개발이 되고 있음

SMR 보다 출력 규모는 훨씬 작긴 한데 컨테이너 박스 크기라서 트럭이나 배로 운송을 할 수 있음

 

대형 원전은 대형 공사를 해야하고 전력망도 필요하고

SMR 역시 도시, 산업단지 급에 설치가 되어야함

 

근데 외딴 시골 지역에도 전기가 필요한데,

이 때 쓸 수 있는게 MMR임

 

 

전력을 만들 때,

일반 원전이나 SMR은 금속관에다가 우라늄 펠릿을 채우고 중성자로 때려서 발전한다고 했음

근데 MMR은 TRISO라는 특수 연료를 사용함

TRISO는 쌀알 보다 작은 우라늄 알갱이인데 세 겹 이상의 피복(탄화규소, 흑연 등)으로 감쌈

 

 

그래서,

알갱이 하나하나의 피복이 방사능을 막아주고 열도 버텨줌. 

(바깥에서 날아온 중성자가 TRISO 연료 속의 우라늄  원자핵을 때려서 핵분열 연쇄반응 발생)

 

근데 방사성 물질은 피복 때문에 밖으로 못나옴 (알갱이 하나하나가 건물)

 

방사성 찌꺼기 때문에 연쇄반응이 방해받아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원전이나 SMR은 금속관(연료봉)을 교체해야만 했음

 

근데 MMR은 방사성 찌꺼기가 밖으로 못나오니까 전체에 퍼지는 것을 막는 현상이 덜하고

그래서 우라늄을 더 오래 태울 수 있는 것임 (수년 ~ 10년)

 

교체 주기가 확 늘어났고, 이게 깨뜨릴 수 없는 연료라고 불리는 이유임

꿀임

 

 

또 하나의 장점은 냉각임

MMR은 물 대신 헬륨 가스나 녹은 소금을 쓰고 있음

물이 아니라서 끓어 넘치거나 증기 폭발 위험이 없음

 

헬륨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고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음

녹은 소금(용융염)도 열 전달력이 뛰어나고 끓지 않음

 

따라서 폭발 가능성이 거의 없음

 

 

원전과 SMR에도 헬륨이랑 녹은 소금을 쓰면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보았음

근데 알아보니까 이게 차세대 원자로 개발의 핵심 포인트라고 함

 

단지 물이 1950년부터 냉각재로 사용되어와서 검증 된 기술이라 허가받기 쉽고

구하기 쉽고 값이 저렴해서 아직까지 쓰이는 것이라고 함

(물이 방사선을 흡수하기도 함)

 

현재 기술 난이도와 안전 규제 그리고 경제성의 이유로 헬륨과 용융염이 상용화되지 못했지만

차세대 원자로 개발의 핵심으로 떠오른다고 하니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임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관련 기업 #5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관련 기업 #5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4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MMR (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4[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련 기업 #3 :: Pockets of Life [기술] 원자력 발전 - SMR 관

dwang.tistory.com

 

+ Recent posts